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철학, 인문학, 사유19

세계가 단일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까? 세계가 단일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까? 인류가 단 한 가지 언어만을 사용한다면 대화의 장애를 받지 않게 될 것이다. 대화 상대자가 누구이든 그가 어느 지역 사람이며 어디에서 태어났든 어려움 없이 대화를 할 수 있다는 것은 생각만 해도 즐거운 일이다. 사실 언어의 다양성은 고대부터 끊임없이 제기되어 온 문제이다. 성격의 바벨탑 이야기도 이에 대해 언급한다. 신의 뜻에 따라 인간이 단일 언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된 순간, 인간은 신에게의 도전이라고 할 바벨탑을 더 이상 쌓아 올리지 못하게 된 것이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수많은 철학자들이 무엇이 이런 다양성을 낳았으며, 인류 보편의 단일 언어를 갖는 것은 불가능한 것인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해왔다. 언어는 사람과 사람간의 단순한 의사 전달에만 사용되는 .. 2022. 3. 11.
비인간적 행위란 무엇인가? 비인간적 행위란 무엇인가? 행위라는 단어에는 특정한 목적과 의도라는 개념이 함축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단어는 동물이 아닌 인간에게만 해당된다. 그렇다면 어떠한 행위가 비인간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물론 이 표현의 뜻은 인간이라고 불릴 자격이 있는 사람이라면 그런 행동을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그러한 행동은 진정한 인간의 모습과 어긋난다는 뜻이다. 그런데 문제는 인간이 무엇인지를 선험적으로 정의하기가 어렵다는 데 있다. 오히려 인간은 다른 생물과 달리 특정한 본성이나 본질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얘기된다. 물론 이러한 생각은 비교적 최근의 것으로서 고대에나 천여년간의 기독교 시대에는 오히려 인간의 필수적 특성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예컨대 고대 그리스인들은 인간.. 2022. 3. 11.
감각을 신뢰할 수 있는가? 감각을 신뢰할 수 있는가? 철학사에서 합리론자들은 감각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다. 예컨대 감각이 보여주는 세계를 끊임없이 변화하는, 전적으로 불안정한 세계로 간주하고 이에 근거하여 지식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지성적' 세계만을 추구해야 한다고 했다. 사실 감각 경험은 신체에 결부되어 있으므로 그것이 제공하는 세계의 모습은 보편적이지 않고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같은 음식을 두고 어떤 사람은 달다고 느낄 수 있고, 어떤 사람은 쓰다고 말할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 같은 사람도 상태에 따라 판단이 바뀔 수 있다. 따라서 감각이 제공하는 정보에 무비판적 판단을 얹을 경우 우리는 심각한 실수를 저지를 수 있다. 반대로 경험론자들은 그와 달리 우리의 모든 관념과 판단은 감각 경험.. 2022. 3. 9.
역사가가 객관적인 게 가능할까? 역사가가 객관적인 게 가능할까? 과학적 객관성이란 과학자가 자신의 연구영역에 연루되지 않음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과학자는 보편적으로 유효한 담론을 만들어낼 수 있다. 즉 과학자는 연구활동에 임할 때 개인적 생각이나 감정의 영향을 모두 배제해야만 하는 것이다. 사실 현대 과학에서 연구자가 연구영역에 개입할 경우(설사 익명으로 주관적이지 않게 개입한다 해도) 관찰과 분석의 결과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는 생각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따라서 가장 엄밀한 분야에서도 절대적 객관성은 당연히 주어지는 상황이 아니라 추구해야 할 목표일 뿐이다. 더구나 인간의 실존과 관계되는 연구영역이라면 상황은 더욱 복잡해질 수 있다. 예부터 역사가가 어떤 시대에 속하지 않고 어떤 나라에도 속하지 않을 수 있기를 바랐던 것은 바.. 2022. 3. 8.
행복과 의식 행복과 의식 어원적으로 볼 때, 행복이라는 단어는 운명 또는 요행에 의해 생기는 일을 가리킨다. 행복이라는 개념에서 이러한 측면을 강조한다면, 행복은 우리의 노력과는 무관하게 우연히 닥치는 것이 된다. 만약 스스로가 의식하지 못하는 행복이 가능하려면, 첫째 우리 스스로에게 무엇이 필요한지를 몰라야 하고(이렇게 되면 욕구불만도 없고 불행도 없다), 둘째 현실이 우리를 만족시키는 방식이 매우 은밀해서 우리 자신이 알아차리지 못해야 한다. 이런 기준에 부합하는 예로 우리의 의식과 무관하게 작용하는 생리작용과 수면이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소화운동이나 수면이 행복의 전형적인 예라고 보기는 어렵다. 또 다른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바로 우리가 종종 행복을 누리면서도 이를 인식하지 못한다는 생각이다. 예컨데 ".. 2022. 3. 7.
반응형